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EV 챔피언스 리그/여자부/2018-19 시즌

덤프버전 :

||



정식 명칭2018–19 CEV Women's Champions League
운영 주체유럽 배구 연맹 (CEV)
기간예선: 2018년 10월 9일~11월 13일
본선: 2018년 11월 20일~2019년 5월 18일
참가팀예선 통과 9팀 + 본선 진출 18팀
결과우승 :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
준우승 : 이모코 볼리 코네글리아노
MVP : 파올라 에고누
1. 개요
2. 국가별 팀 할당
3. 진출 팀
4. 본선 조별 리그
4.1. A조
4.2. B조
4.3. C조
4.4. D조
4.5. E조
5. 플레이오프
5.1. 8강전
5.1.1. 8강 진출팀
5.1.2. 경기 상세
5.1.3. 경기 결과
5.2. 4강전
5.2.1. 4강 진출팀
5.2.2. 경기 상세
5.2.3. 경기 결과
5.3. 결승전
6. 결과
7. 스탯
7.1. 득점 순위
7.2. 공격 순위
7.3. 블로킹 순위
7.4. 리시브 순위
7.5. 서브 순위
7.6. 세트 순위
8. 수상
9. 기타


1. 개요[편집]



2018년 10월에 개막해 2019년 5월에 폐막하는 CEV 챔피언스 리그의 59번째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국가별 팀 할당[편집]


랭킹국가출전권참가 팀한글명
1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3Eczacıbaşı VitrA Istanbul엑자시바시 비트라 이스탄불
Vakıfbank Istanbul바키프방크 이스탄불
Fenerbahçe SK Istanbul페네르바흐체 SK 이스탄불
2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3Igor Gorgonzola Novara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
Imoco Volley Conegliano이모코 볼리 코네글리아노
Savino Del Bene Scandicci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
3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3Dinamo Kazan디나모 카잔
Dinamo Moscow디나모 모스크바
Uralochka-NTMK Ekaterinburg우랄로츠카-NTMK 예카테린부르크
4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3Chemik Police헤믹 폴리체
ŁKS Commercecon ŁódźLKS Commercecon 우쯔
Budowlani Łódź부도블라니 우쯔
6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2Béziers VB베지에 VB
RC CannesRC 칸
8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1CSM BucureștiCSM 부쿠레슈티
9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SSC Palmberg SchwerinSSC 팜베르크 슈베린
Allianz MTV Stuttgart알리안즈 MTV 슈투트가르트
13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1Minchanka Minsk민찬카 민스크
14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1Maritza Plovdiv마티차 플로브디프
15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1HPK HämeenlinnaHPK 헤멘리나


3. 진출 팀[편집]


2018-19 CEV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 A~E조
A파일:튀르키예 국기.svg바키프방크
(Vakıfbank)
파일:프랑스 국기.svg베지에 VB
(Béziers)
파일:불가리아 국기.svg마티차 플로브디프
(Maritza Plovdiv)
파일:독일 국기.svgMTV 슈투트가르트
(Stuttgart)
B파일:튀르키예 국기.svg엑자시바시
(Eczacıbaşı)
파일:러시아 국기.svg디나모 카잔
(Dinamo Kazan)
파일:핀란드 국기.svgHPK 헤멘리나
(Hämeenlinna)
파일:러시아 국기.svg우랄로츠카-NTMK
(Ekaterinburg)
C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고르 노바라
(Novara)
파일:프랑스 국기.svgRC 칸
(RC Cannes)
파일:벨라루스 국기.svg민찬카 민스크
(Minchanka)
파일:폴란드 국기.svg부도블라니 우쯔
(Budowlani Łódź)
D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모코 코네글리아노
(Conegliano)
파일:폴란드 국기.svgLKS 우쯔
(ŁKS Łódź)
파일:독일 국기.svgSSC 슈베린
(SSC Schwerin)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사비노 델 베네
(Scandicci)
E파일:러시아 국기.svg디나모 모스크바
(Dinamo Moscow)
파일:폴란드 국기.svg헤믹 폴리체
(Chemik Police)
파일:루마니아 국기.svgCSM 부쿠레슈티
(CSM București)
파일:튀르키예 국기.svg페네르바흐체
(Fenerbahçe)


4. 본선 조별 리그[편집]


  • 20개의 팀이 각 팀 4개의 5개의 조로 나누어짐.
  • 라운드 로빈 포맷을 따르며, 같은 조의 팀들과 총 2번의, 어웨이와 홈 경기 한번씩을 치름.
  • 조별 리그 1위의 5개 팀과 조별 리그 2위 팀 중 가장 잘한 3개 팀이 플레이오프로 진출함.
  • 조별 리그 2위 팀 중 플레이오프 진출 기준은 이와 같음:
    • 승점 (3-2 혹은 3-1은 3점, 3-2는 2점, 2-3은 1점)
    • 세트 득실률 (= 가져온 세트 수 / 내준 세트 수)
    • 점수 득실률 (= 가져온 점수 / 내준 점수)

플레이오프 진출


4.1. A조[편집]


순위팀명경기승점세트점수
득실률득실률
1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601818118.0004713421.377
2파일:독일 국기.svg 슈투트가르트42121381.6254794471.072
3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마티차 플로브디프1535160.3134214920.856
4파일:프랑스 국기.svg 베지에 VB1534150.2673544440.797

날짜점수포인트
11월 20일베지에 파일:프랑스 국기.svg3-0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마티차 플로브디프75-49
11월 22일바키프방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3-1파일:독일 국기.svg 슈투트가르트95-74
12월 19일슈투트가르트 파일:독일 국기.svg3-0파일:프랑스 국기.svg 베지에75-52
12월 20일마티차 플로브디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0-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53-75
1월 23일슈투트가르트 파일:독일 국기.svg3-1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마티차 플로브디프98-80
1월 23일베지에 파일:프랑스 국기.svg0-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57-76
2월 6일바키프방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3-0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마티차 플로브디프75-55
2월 6일베지에 파일:프랑스 국기.svg0-3파일:독일 국기.svg 슈투트가르트55-75
2월 20일마티차 플로브디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3-1파일:프랑스 국기.svg 베지에94-71
2월 20일슈투트가르트 파일:독일 국기.svg0-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59-75
2월 26일바키프방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3-0파일:프랑스 국기.svg 베지에75-44
2월 26일마티차 플로브디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1-3파일:독일 국기.svg 슈투트가르트90-98


4.2. B조[편집]


순위팀명경기승점세트점수
득실률득실률
1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엑자시바시60171836.0005033801.324
2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카잔33101291.3334564261.070
3파일:러시아 국기.svg 우랄로츠카-NTMK33811130.8464975030.988
4파일:핀란드 국기.svg HPK 헤멘리나0612180.1113334800.694

날짜점수포인트
11월 20일디나모 카잔 파일:러시아 국기.svg3-0파일:핀란드 국기.svg HPK 헤멘리나75-35
11월 21일엑자시바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3-0파일:러시아 국기.svg 우랄로츠카-NTMK75-54
12월 18일우랄로츠카-NTMK 파일:러시아 국기.svg3-2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카잔106-96
12월 19일HPK 헤멘리나 파일:핀란드 국기.svg0-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엑자시바시47-75
12월 22일디나모 카잔 파일:러시아 국기.svg1-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엑자시바시79-97
12월 24일우랄로츠카-NTMK 파일:러시아 국기.svg3-0파일:핀란드 국기.svg HPK 헤멘리나75-55
2월 5일엑자시바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3-0파일:핀란드 국기.svg HPK 헤멘리나75-44
2월 5일디나모 카잔 파일:러시아 국기.svg3-0파일:러시아 국기.svg 우랄로츠카-NTMK75-57
2월 19일HPK 헤멘리나 파일:핀란드 국기.svg0-3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카잔56-75
2월 20일우랄로츠카-NTMK 파일:러시아 국기.svg2-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엑자시바시100-106
2월 26일엑자시바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3-0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카잔75-56
2월 26일HPK 헤멘리나 파일:핀란드 국기.svg2-3파일:러시아 국기.svg 우랄로츠카-NTMK96-105


4.3. C조[편집]


순위팀명경기승점세트점수
득실률득실률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6018180MAX4593231.421
2파일:폴란드 국기.svg 부도블라니 우쯔42111291.3334584740.966
3파일:프랑스 국기.svg RC 칸1546150.4004565110.892
4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민찬카 민스크1534160.2504425070.872

날짜점수포인트
11월 21일RC 칸 파일:프랑스 국기.svg3-0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민찬카 민스크75-57
11월 22일이고르 노바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3-0파일:폴란드 국기.svg 부도블라니 우쯔75-58
12월 19일민찬카 민스크 파일:벨라루스 국기.svg0-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고르 노바라67-84
12월 20일부도블라니 우쯔 파일:폴란드 국기.svg3-0파일:프랑스 국기.svg RC 칸80-74
1월 22일RC 칸 파일:프랑스 국기.svg0-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고르 노바라51-75
1월 23일부도블라니 우쯔 파일:폴란드 국기.svg3-0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민찬카 민스크76-67
2월 5일RC 칸 파일:프랑스 국기.svg2-3파일:폴란드 국기.svg 부도블라니 우쯔99-105
2월 7일이고르 노바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3-0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민찬카 민스크75-48
2월 19일부도블라니 우쯔 파일:폴란드 국기.svg0-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고르 노바라46-75
2월 21일민찬카 민스크 파일:벨라루스 국기.svg3-1파일:프랑스 국기.svg RC 칸119-104
2월 26일민찬카 민스크 파일:벨라루스 국기.svg1-3파일:폴란드 국기.svg 부도블라니 우쯔84-93
2월 26일이고르 노바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3-0파일:프랑스 국기.svg RC 칸75-53


4.4. D조[편집]


순위팀명경기승점세트점수
득실률득실률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42121581.8755064821.050
2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모코 볼리 코네글리아노421114101.4005534651.189
3파일:독일 국기.svg SSC 슈베린331012111.0915135190.988
4파일:폴란드 국기.svg LKS 우쯔1534160.2503754810.780

날짜점수포인트
11월 20일LKS 우쯔 파일:폴란드 국기.svg3-1파일:독일 국기.svg SSC 슈베린89-93
11월 21일이모코 코네글리아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3-2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112-94
12월 18일SSC 슈베린 파일:독일 국기.svg3-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모코 코네글리아노86-75
12월 20일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3-0파일:폴란드 국기.svg LKS 우쯔75-56
1월 22일LKS 우쯔 파일:폴란드 국기.svg0-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모코 코네글리아노52-75
1월 23일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3-0파일:독일 국기.svg SSC 슈베린78-59
2월 5일LKS 우쯔 파일:폴란드 국기.svg0-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60-75
2월 6일이모코 코네글리아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3-2파일:독일 국기.svg SSC 슈베린112-96
2월 19일SSC 슈베린 파일:독일 국기.svg3-1파일:폴란드 국기.svg LKS 우쯔98-81
2월 20일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3-2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모코 코네글리아노100-104
2월 26일SSC 슈베린 파일:독일 국기.svg3-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91-84
2월 26일이모코 코네글리아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3-0파일:폴란드 국기.svg LKS 우쯔75-37


4.5. E조[편집]


순위팀명경기승점세트점수
득실률득실률
1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51161753.4005154221.220
2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모스크바51131691.7785545211.063
3파일:헝가리 국기.svg CSM 부쿠레슈티1547160.4384745230.906
4파일:폴란드 국기.svg 헤믹 폴리체1537170.4124645410.858

날짜점수포인트
11월 21일디나모 모스크바 파일:러시아 국기.svg1-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71-92
11월 22일헤믹 폴리체 파일:폴란드 국기.svg1-3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M 부쿠레슈티82-91
12월 19일페네르바흐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3-0파일:폴란드 국기.svg 헤믹 폴리체75-50
12월 20일CSM 부쿠레슈티 파일:루마니아 국기.svg0-3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모스크바75-83
1월 23일페네르바흐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3-0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M 부쿠레슈티75-59
1월 24일헤믹 폴리체 파일:폴란드 국기.svg2-3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모스크바92-100
2월 6일헤믹 폴리체 파일:폴란드 국기.svg0-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59-76
2월 6일디나모 모스크바 파일:러시아 국기.svg3-1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M 부쿠레슈티89-78
2월 20일페네르바흐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2-3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모스크바101-114
2월 20일CSM 부쿠레슈티 파일:루마니아 국기.svg2-3파일:폴란드 국기.svg 헤믹 폴리체102-98
2월 26일디나모 모스크바 파일:러시아 국기.svg3-1파일:폴란드 국기.svg 헤믹 폴리체97-83
2월 26일CSM 부쿠레슈티 파일:루마니아 국기.svg1-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69-96


5. 플레이오프[편집]


  • 8강, 4강 대진 추첨은 무작위로 편성.
  •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8개의 팀이 녹아웃 토너먼트를 치름.
  •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름. 단, 결승전은 중립 구장에서 단판 승부로 치름.
  • 승점제 형식으로 치름. 2차전이 끝난 후 승점이 가장 높은 팀이 4강으로 진출함.
  • 2차전 후 승점이 동등하면, 바로 골든셋을 치르며 세트를 가져오는 팀이 승자가 됨.
  • 3위 결정전이 없어짐.


5.1. 8강전[편집]



5.1.1. 8강 진출팀[편집]


8강 진출 팀 구분
진출팀비진출팀

조별 리그 1위조별 리그 2위
A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파일:독일 국기.svg 슈투트가르트
B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엑자시바시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카잔
C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파일:폴란드 국기.svg 부도블라니 우쯔
D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모코 볼리 코네글리아노
E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모스크바


5.1.2. 경기 상세[편집]


파일:CEV_Champions_League_logo.png
2018-19 CEV Champions League Quarter-Finals
1차전 결과

날짜점수포인트
3월 12일슈투트가르트 파일:독일 국기.svg1-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고르 노바라88-95
3월 13일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1-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84-98
3월 13일디나모 모스크바 파일:러시아 국기.svg3-2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106-109
3월 13일이모코 코네글리아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0-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엑자시바시68-77

2차전 결과

날짜점수포인트
3월 19일엑자시바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1-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모코 코네글리아노90-96
골든셋엑자시바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10-15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모코 코네글리아노
3월 19일페네르바흐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3-2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110-100
3월 20일바키프방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3-0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모스크바75-43
3월 21일이고르 노바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3-2파일:독일 국기.svg 슈투트가르트100-100



5.1.3. 경기 결과[편집]


팀명누적팀명1차전2차전골든셋
슈투트가르트 파일:독일 국기.svg1-5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고르 노바라1-32-3
디나모 모스크바 파일:러시아 국기.svg2-4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3-20-3
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1-5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1-32-3
이모코 코네글리아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3-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엑자시바시0-33-115-10


5.2. 4강전[편집]



5.2.1. 4강 진출팀[편집]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파일:바키프방크 SK.png파일:AGIL.jpg파일:Imoco.png
페네르바흐체 오펫바키프방크 이스탄불이고르 노바라이모코 코네글리아노


5.2.2. 경기 상세[편집]


파일:CEV_Champions_League_logo.png
2018-19 CEV Champions League Semi-Finals
1차전 결과

날짜점수포인트
4월 2일이모코 코네글리아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3-0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76-68
4월 4일바키프방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0-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고르 노바라57-77

2차전 결과

날짜점수포인트
4월 9일페네르바흐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0-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모코 코네글리아노66-78
4월 10일이고르 노바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1-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89-90
골든셋이고르 노바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16-14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



5.2.3. 경기 결과[편집]


팀명누적팀명1차전2차전골든셋
바키프방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3-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고르 노바라0-33-114-16
이모코 코네글리아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6-0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3-03-0


5.3. 결승전[편집]


파일:CEV_Champions_League_logo.png
2018-19 CEV Champions League Final
2019. 05. 18 / 막스쉬멜링 체육관 (독일, 베를린)
파일:AGIL.jpg파일:2018-19 Super Finals Berlin logo.png파일:Imoco.png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이모코 볼리 코네글리아노
3 - 1

TEAM1세트2세트3세트4세트5세트세트스코어
Novara252514253
Imoco181725221


6. 결과[편집]


파일:2018-19 챔스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jpg

2018-19 CEV 챔피언스 리그 우승
파일:AGIL.jpg
Igor Gorgonzola Novara
1번째 우승


7. 스탯[편집]


  • 모든 라운드를 포함한 수치이다.
  • 2018-19 시즌부터 항목별 수상을 하지 않는다.


7.1. 득점 순위[편집]


이름포지션소속팀출전 경기 (세트)득점세트당 득점
파일:쿠바 국기.svg멜리사 바르가스OPP페네르바흐체 오펫10 (37)2306.2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올라 에고누OPP이고르 노바라9 (30)2107.0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요바나 브라코체비치OPP우도블라니 우쯔10 (36)2035.64
파일:러시아 국기.svg나탈리야 곤차로바OPP디나모 모스크바8 (33)1905.76
파일:스웨덴 국기.svg이사벨 하크OPP사비노 델 베네8 (32)1825.69


7.2. 공격 순위[편집]


이름포지션소속팀출전 경기 (세트)공격 성공률성공 / 시도수
파일:러시아 국기.svg이리나 코롤레바MB디나모 카잔6 (19)61.02%36 / 59
파일:튀르키예 국기.svg귈데니즈 오날OS엑자시바시 비트라3 (6)54.84%17 / 31
파일:미국 국기.svg그레이스 맥케이지MB슈투트가르트12 (43)51.41%73 / 142
파일:미국 국기.svg로렌 깁메이어MB엑자시바시 비트라7 (26)51.16%44 / 86
파일:영국 국기.svg키아라 미쉘MBASPTT 뮐루즈3 (8)50.00%13 / 26


7.3. 블로킹 순위[편집]


이름포지션소속팀출전 경기 (세트)킬블록 횟수세트당 블로킹
파일:미국 국기.svg페이지 탭MB슈투트가르트12 (41)370.9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로빈 데 크루이프MB이모코 코네글리아노11 (42)360.86
파일:세르비아 국기.svg밀레나 라시치MB바키프방크9 (32)290.91
파일:러시아 국기.svg이리나 페티소바MB디나모 모스크바8 (33)290.88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야로슬로바 펜소바MB우도블라니 우쯔10 (36)290.81


7.4. 리시브 순위[편집]


이름포지션소속팀출전 경기 (세트)리시브 성공률시도수
파일:불가리아 국기.svg도브리아나 라밧지예바OS페네르바흐체 오펫7 (24)42.62%122
파일:벨라루스 국기.svgHanna HryshkevichOS민챤카 민스크4 (12)41.89%7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기젬 외르게LI바키프방크7 (26)40.40%151
파일:벨라루스 국기.svgKatsiaryna SakolchykOS민챤카 민스크5 (16)36.70%109
파일:중국 국기.svg주팅OS바키프방크9 (31)35.50%200
  • 한 세트당 리시브를 평균 5개 이상을 받고 경기를 3번 이상 뛴 선수들의 기록만 포함.
  • 바키프방크의 켈시 로빈슨은 32번의 세트 동안 142번의 리시브를 받고 성공률 47.18%를 기록했으나, 한 세트당 4.34개의 리시브를 받았으므로 기록에 포함이 되지 않는다.


7.5. 서브 순위[편집]


이름포지션소속팀출전 경기 (세트)서브에이스 횟수세트당 성공
파일:멕시코 국기.svg사만다 브리시오OS페네르바흐체 오펫10 (37)240.65
파일:쿠바 국기.svg멜리사 바르가스OS페네르바흐체 오펫10 (37)210.57
파일:튀르키예 국기.svg에다 에르뎀OS페네르바흐체 오펫10 (37)170.46
파일:미국 국기.svg로렌 칼리니OS이고르 노바라11 (37)170.4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로네케 슬뢰체스OS바키프방크9 (32)130.41


7.6. 세트 순위[편집]


이름포지션소속팀출전 경기 (세트)세트 효율
파일:폴란드 국기.svg요안나 보워시S이모코 코네글리아노9 (32)45.52%
파일:독일 국기.svg데니스 한케S슈베린 SC5 (14)43.59%
파일:미국 국기.svg매디슨 버그S슈투트가르트12 (40)42.17%
파일:러시아 국기.svg예브게니아 스타르체바S디나모 카잔4 (15)41.3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오펠리아 말리노프S사비노 델 베네4 (14)37.00%


8. 수상[편집]


MVP
파일:챔스 mvp_2019.jpg
파일:AGIL.jpg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올라 에고누
No.18Opposite Spiker


9. 기타[편집]


  • 2009년 이후 10년 만에 터키 팀이 결승 진출을 실패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1 21:36:17에 나무위키 CEV 챔피언스 리그/여자부/2018-19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